-
경주 구황리삼층석탑•─가장 한국적인..../한국의 탑(塔) 2008. 11. 17. 17:14
좁은 황복사지 시멘트길을 자동차로 겨우 지나다 보면 조금은 너른 주차장이 나오면서
멋진 모습의 석탑 한 기를 만나게 된다.
경주 구황리삼층석탑(慶州九黃里三層石塔)
넓은 들판을 바라보며 서있는 구황리 삼층석탑이 무척이나 아름답다.
그 아름다움을 아는 이들은 잠시 숨을 고르고
다시 찬찬히 둘러보게 될것이다.
경주 구황리3층석탑 소재지;경북 경주시 구황동 103번지(국보 제37호)
1934년 석탑 수리도중
2층 옥개석의 사리함 뚜껑 안쪽에 새겨진 조탑명문에 새겨진 글을 통해
692년(효소왕 1년)부터 706년(성덕왕 5년) 사이에
건립되었음을 추정할수 있다.
신라 효소왕이 부왕인 신문왕의 명복을 빌고자 세운 탑이라고 전해진다.
세련된 자동차와 섬세하고 아름다운 석탑의 만남~~
1300여년의 시간을 초월하여 만난 인연...
이 많은 시간도 흘러가면 또 어떤 모습으로 석탑앞을 채워줄지 궁금해지는 답사길이다.
석탑의 높이는 7.3m이다.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석탑의 모습^^*
2층기단..그리고 3층의 탑신
상층기단의 각 면에는 우주와 2주의 탱주가 모각되어 있다.
옥개석의 받침은 5단으로 되어 있는것이 잘 보인다.
옥신에는 각 면에도 우주가 있다.
▲ 경주구황리금제여래좌상(국보 제79호)
1934년 경주구황리 삼층석탑을 해체·복원할 때 나온 사리함에서 경주구황리 금제여래입상(국보 제80호)과 함께 발견되었다.
사리함에 새겨진 글에 의하면 통일신라 성덕왕 5년(706)에 사리함 속에
순금으로 된 아미타상을 넣었다고 하는데 이 불상이 아닌가 추측된다.
그러나 크기가 6치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 불상은 12.2㎝로 4치도 되지 않아 의문이 간다.
▲ 경주구황리금제여래입상(국보 제80호)
경주구황리삼층석탑(국보 제37호)에 안치된 사리함 속에서 발견된 불상이다.전체 높이 14㎝의 순금으로 만든 불상이며
대좌와 광배를 모두 갖추고 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사진;문화재청)
상륜부에는 노반만이 남아있다.
근데 너무 아름답다.
망원렌즈로 당겨보았다.^^* 머리장식까지 자세히 볼수 있으니 넘 좋다~
찾아가는길
경부고속도로-경주 IC->포항방면(배반사거리)->가기전 황북로->황복사지팬션->경주 고황리 삼층석탑
'•─가장 한국적인.... > 한국의 탑(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은사지 삼층석탑 (0) 2008.12.04 서로 다르지만 잘 어울리는 경주남산리 삼층석탑 (0) 2008.11.20 속살을 보여주는 무장사지 삼층석탑 (0) 2008.11.17 성주 백운리의 법수사지(法水寺址)삼층석탑 (0) 2008.11.14 의성 탑리5층석탑 (0) 2008.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