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망해사지(望海寺址)의 석조부도•─가장 한국적인..../한국의 문화재 2009. 4. 17. 22:09
망해사지석조부도 소재지;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율리 산16 (보물 제173호)
어느 날 울산답사를 한 적이 있다.
아무런 준비없이 떠난 답사라 네비케이션만 믿고 길을 헤맨다.
하지만 고맙게 길을 안내하던 네비는 고장이 나고 망해사지는 더 이상 찾을 수가 없었다.
슬픈 마음을 누르고 문명의 이기를 원망하며
바닷가에서
회를 먹으며 다음을 기약한 시간이 있었다.
이번 봄에 드디어 망해사지를 만났다. 아니 망해사지 석조부도를 만났다고 해야 옳을것이다.
부도의 한 켠에 석종형 부도가 잘 정돈된 자리에서 부도를 지켜주고 있다.
조선후기의 작품이다.
현재 세워진 대웅전의 뒷편에 올랐다. 엄밀히 말하면 대웅전의 북쪽이다.망해사지 부도가 나란히 서 있다.
기다렸다는 표정으로 빙긋이 웃는다. 조각의 수법이 세밀하고 정확하다.
아름답다라 생각을 한다.
통일신라 후기의 아름다운 부도탑이다.
화려하면서도 절제된 느낌이 참 아름답다. 그저 아름다움에 취해 한참을 멍하니 서있다.
문화재청의 자료를 빌려온다. 탑신을 받치는 기단은 3개의 받침돌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받침돌은 8각으로 구성하고,
그 위로 연꽃무늬를 조각한 돌을 올렸으며,
가운데받침돌은 높은 8각의 단 위에 다시 낮은 3단이 층을 이뤄 받치고 있다.
윗받침돌은 옆면에 16잎의 연꽃잎을 이중으로 조각하였는데
그 모양이 화사하다.
탑신은 각 면마다 창의 형태를 새겼고 모서리에는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으며,4면에는 문짝 모양을 새겨 놓았다.
지붕돌은 처마와 추녀가 수평으로 넓으며, 각 귀퉁이마다 풍경을 달았던 작은 구멍들이 있다.
꼭대기의 머리장식 부분은 두 탑 모두 없어졌으나,
그 일부가 별도로 보관되고 있다.
8각의 기단부와 하대에 새겨진 안상이 굉장히 또렷하다.
동부도가 많이 훼손되었다. 무너졌던 것을 1960년에 복구하였다.
각 부분이 8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찾아가는길 경부고속도로-울산,언양간고속도로->언양IC->무거로타리->부산방면(7번국도)->울산구치소->망해사
'•─가장 한국적인.... > 한국의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안사 적인선사조륜청정탑 (0) 2009.04.23 담양읍 석당간은 보물 제 505호이다. (0) 2009.04.17 흥국사입구에서 홍교(虹橋)를 만났다. (0) 2009.04.03 예천 동본리석조여래입상 (0) 2009.03.16 진전사지부도는 도의선사의 부도일까? (0) 2009.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