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렬서원(忠烈書院)경기용인•─가장 한국적인..../조선의 서원 2007. 7. 20. 20:09
충렬서원(忠烈書院)
소재지;경기 용인시 모현면 능원리 118-1(경기도유형문화재 제9호)
동방성리학의 조종으로 추숭된 포은 정몽주(鄭夢周)선생을 배향하는 서원이다.
조선 선조 9년(1576년) 정몽주와 조광조의 학덕과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처음에는 이 서원을 정몽주와 조광조의 묘소 중간 지역인 지금의 죽전리에 세웠으며 서원 이름도"죽전서원(竹田書院)"이었다.
임진왜란때 서원 건물이 소실되어 선조 38년(1605년)에 이정구가 경기도 관찰사로 있으면서
현감 정종선,이시윤등과 함께 논의하여 정몽주의 묘소 아래에 중건하였다.
3년여의 공사 끝에 사우 3칸, 동서재 각 2칸,문루3칸을 지었다.
이 때 조광조의 위패는 심곡서원(深谷書院)으로 옮겨 배향 하였다.
중창과 함께 "충렬(忠烈)"이라 사액되었으며, 설곡 정 보와 죽창 이 시직을 추가 배향 하였다.
숙종 32년(1706년)에 다시 후손 정제두(鄭齊斗)·정찬조(鄭纘祖)를 비롯한 여러 유림의 공의로 옛터 서쪽 가까운 곳에 이건하였다.
고종 8년(1871년)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 되었다.
1911년에 유림에서 사우(祠宇)를 중건하였고, 1956년에 강당을 복원하였으며,
1972년 전체를 보완 신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에는 6칸의 사우, 내신문(內神門) 외신문(外神門), 동서 협문(夾門),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된 8칸의 강당 등이 있다.
솟을삼문인 외삼문이다.
문루 윗층은 강당이며, 아래는 문주방(門廚房)과 고사(庫舍) 등을 갖추었다.
경사지에 사당과 강당을 중심으로 재실이나 장경각, 교직사 등이 배제된 변형된 구조이다.
특히 충렬서원은 일정한 중심 축이 없어 외삼문에 들어서면 강당과 사당이 동시에 보인다.
사우에는 정몽주를 주벽(主壁)으로 하여 좌우에 정 보와 이 시직의 위패를 배향하였다.
'•─가장 한국적인.... > 조선의 서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호서원(琴湖書院)경북 청도 (0) 2007.07.28 도산서원(陶山書院)경북안동 (0) 2007.07.24 덕봉서원(德峰書院)경기안성 (0) 2007.07.19 심곡서원(深谷書院)경기용인 (0) 2007.07.19 한천서원(寒泉書院)대구달성 (0) 2007.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