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룡사 보각국사정혜원융탑전사자석등•─가장 한국적인..../한국의 문화재 2010. 7. 26. 17:34
청룡사 보각국사정혜원융탑전사자석등
소재지; 충북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산32-2 (보물 제656호)
말이 어렵나요?
그리 어렵지 않아요.
청룡사에 있는 태조 이성계의 사부인 보각국사 그리고 탑이름인"정혜원융"
탑앞의 사자석등이란 이야기입니다.
경기도 양주의 회암사지쌍사자석등과 함께
조선시대 사자석등의 대표적인작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주차장에서 청룡사지로 가는 길은 불과 50m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길도 참으로 아름답습니다.
앞에 보이는 것이 사자석등입니다.
뒤에는 융탑이고요.
지금부터는 문화재청의 글을 인용합니다.
이 석등은 보각국사의 명복을 빌어 주기 위해 그의 사리탑 앞에 세워진 것으로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이를 받쳐주는 3단의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었다.
3단의 받침 가운데 아래받침돌은 앞을 향해 엎드려 있는 사자를 조각하였는데
이 때문에 사자석등이라 부른다.
사자의 등에 얹어진
가운데받침은 기둥모양으로 4각의 낮은 돌을 두었다.
화사석은 4각으로, 네 모서리를 둥근기둥처럼 조각하였고, 앞뒤로 2개의 창을 내었다.
지붕돌은 네 귀퉁이마다 자그마한 꽃을 돌출되게 조각해 놓았으며
낙수면의 경사가 급하고
네 모서리선이 두터워 고려시대의 지붕돌 양식을 잘 보여준다.
절터에서 석등을 사리탑, 탑비와 나란히 세운 것은 조선시대의 배치방식이다.
탑비에 새겨진 기록으로 미루어
이 석등은 조선 전기인 태조 1년(1392)부터 그 이듬해인 1393년에
걸쳐 세워진 것으로 추측된다.
비가 억수같이 내립니다.
하지만 좋습니다. 이리 좋을 수가 있을까요?
'•─가장 한국적인.... > 한국의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배리석불입상 (0) 2010.07.28 청룡사 보각국사정혜원융탑 (0) 2010.07.26 청룡사 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 (0) 2010.07.26 구례 사도리석불좌상 (0) 2010.07.22 보경사 원진국사비 (0) 2010.07.15